유럽 여행을 해보신 분들이 씨에스타(낮잠) 때문에 관광을 제대로 하지 못했다는 글을 종종보는데요.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씨에스타때문에 식사하기가 힘든 곳도 있다고 하지요.
중국에서도 비슷한 문화가 있는데요.
바로 중국의 낮잠 문화 오수(午睡 [wǔshuì])입니다.
중국의 점심시간은 긴 편으로 낮 12시에서 2시까지인데요.
점심을 먼저먹고, 남는 시간에 낮잠을 자는데 이것을 오수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유치원부터 초,중,고등학교, 직장까지 ,
낮잠 문화가 보편화되서, 많이 정착되어 있다고 하네요.
중국인들의 낮잠이 보편화된 이유는,
하루일의 효율성을 높이고, 건강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실제로도, 이를 뒷받침해주는 낮잠의 효과에 대한 실험 결과도 많이 나왔다고 합니다.
이러한 오수문화때문에, 1시 넘어서 점심시간이 끝났거니 하고 중국인에게
전화를 건네는 것이, 실례가 될 수 있다고도 하네요.
업무가 있어서 연락을 할 경우에는, 점심시간(12시~2시)이 지난다음에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시대의 변화에따라 베이징이나 상하이같이 큰도시에 있는 외국계회사들의 경우,
점심시간을 1시간으로 정한 회사들도 많아졌다고 하는데요.
낮잠자는 학교들도 많이 줄었다고 합니다.
오수는 하나의 문화로, 법적으로 정해진 것은 아니어서,
효율성이나 생산성등을 이유로 변경되기도 하는 것 같은데요.
개인적으로는, 9to6의 생활속에서의 충전시간인 오수가 좋은 문화라고 생각하는데,
대도시에서는 많이 사라진다고 하니 아쉽기도 하네요.
오늘 글과 관련된 중국어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중국어 단어 정리〉
1.午睡[wǔshuì]
낮잠.
午[wǔ ] 낮오 ( 人사람인 +十열십)
睡[shuì] 졸음수 (目눈목 + 垂드리울수)
2.幼儿园[yòu'éryuán]
유치원.
幼[yòu ] 어릴유( 幺[yāo] 작을요변+力[lì] 힘력방=힘이 작은사람은 어리다)
儿[ér ] 아이아(兒)의간체자
园[yuán] 동산원(園)의간체
3.时间 [shíjiān]
시간.
时 [shí]때시( 日(날일)부수)
间 [jiān]사이간 (間)의간체자
4.约束[yuēshù]
약속.
约[yuē] 맺을약(纟 실사부수)
束[shù] 묶을속 (木나무목부수)
5.效果 [xiàoguǒ]
효과.
效[xiào] 본받을효(交사귈교방에+攵칠복부수방)
果[guǒ] 열매과( 田[tián] +木[mù])
6. 业务[yèwù]
업무.
业 [yè] 일업(業)의 간체자 (一하나일의부수에서 찾기)
务[wù] 힘쓸무(務)의간체자( 힘력力[lì] 부수에서찾기)
7.公司[gōngsī]
회사.
公[gōng]공평할공(八여덟팔부수)
司[sī] 맡을사(口[kǒu] 부수)
'중국문화와 중국어 > 2017년 상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리한 중국의 자전거 공유서비스 (0) | 2017.04.25 |
---|---|
보지 않고도 돈을 세는 중국의 달인 (0) | 2017.04.17 |
산시성의 도삭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0) | 2017.04.12 |
건물을 관통하는 전철 들어보셨나요? (4) | 2017.04.07 |
중국에서의 괜찮습니다는 괜찮지 않을 수 있다 # 还可以 (0) | 2017.04.02 |
의천도룡기 의 작가 김용 (0) | 2017.03.24 |
중국의 영어이름, China는 어떻게 이름지어졌을까요? (1) | 2017.03.22 |
요우커와 싼커는 무슨 뜻인가요? # 游客 # 散客 (0) | 2017.03.21 |
중국에서 추석에 먹는 월병은 어떤 것인가요? (0) | 2017.03.21 |
잠옷 차림으로 보는 중국 의복 문화 (2) | 2017.03.19 |